<THE FLEX> 36호, 클릭! Vol.36|2022. 3. 31
Editor’s Letter |
|
|
안녕하십니까. 안재형 기잡니다. 벌써 “3월이네 한 지가 엊그제 같은데…”란 말, 많이 듣고 또 하셨지요? 벌써 마지막 날이 됐습니다. 그렇다고 정말 마지막인건 아니죠. 4월의 시작이 코앞이니까요.(만우절 조심^^;;;;) 이번 주 다들 어떻게 보내고 계십니까. 저희는 <매경LUXMEN> 4월호를 발간하고 잠시 숨 고르고 있습니다.
<THE FLEX>를 구독하고 계신 분들 중에는 주식에 열공 중인 주린이나 개미 여러분도 많으실 텐데요. 한주를 돌아보니 3월 29일 하루에만 LG, 한화, 기아, 두산, 카카오 등 코스피 상장사 151개사와 코스닥 381개사, 코넥스 44개사가 정기주총을 열었더군요. 3월 마지막 주에만 1546개사가 정기주총(한국예탁결제원 집계)을 열었다고 합니다. 금융당국이 주총 시기를 분산하려고 노력 중인데 그럼에도 여전히 3월 말이 문전성시네요. 왜 그런 걸까요? 지난해부터 주총이 열리기 일주일 전까지 기업들이 직전 연도 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를 공시해야 할 의무가 생겼는데요. 기업들 입장에선 지정감사제로 인한 외부 감사 시간이 길고, 해외법인도 많아져 3월 초나 중순에 주총을 하는 게 힘들어졌다는군요. 그럼 4월로 미루는 건 어떨까요. 12월 결산법인은 원래 사업연도 말로 배당과 의결권 기준일이 설정돼 있었는데, 주주명부 효력 기간이 그로부터 3개월이라 3월내에 주총을 열어야 했습니다. 그랬던 법적 제약에 지난해부터 바뀌었지요. 의결권 기준일을 연말 뿐 아니라 연초로 설정할 수 있게 해서 4월 이후 주총이 가능해진 겁니다. 그런데 정작 그러기 위해선 기업들이 정관을 개정해 의결권 기준일을 바꿔야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니죠. 지난해 기준 4월 주총이 가능하게 정관을 바꾼 회사가 28개 기업 뿐인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내년에도 3월 말은 ‘슈퍼 주총데이’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랬거나 저랬거나 주가나 껑충 뛰었으면 좋겠다고요? 어쨌거나 저쨌거나 저도… 그럼 <더 플렉스> 시작합니다.
P.S
꽃 구경 가실 때 마스크 챙기는 거 잊지 마세요~!
마스크 챙기기 전에 구독부터 꾸욱~!! 😎
💬Editor’s letter : 이 주의 트렌드
👑Brand Talk : 이 브랜드가 요즘 최고!
👓Focus : 이 정돈 알아야쥐~!
💍이주의 Pick : 핫 아이템
🏂Hot Spot : 이 곳도 모르고 트렌드세터라고?
😮궁금증 클리닉 : 구독자 여러분의 질문(레터)에 발품 팔아 답변하는 코우너!
(궁금한 사항을 ssalo@mk.co.kr로 보내주세요)
💨Oh! My Sale : 각 브랜드의 세일 소식
등 다양한 내용을 전달합니다.
|
|
|
우크라이나 사태가 클래식 음악계에 미친 여파
‘러시아 보이콧’의 딜레마에 빠진 사람들
우크라이나 사태가 여전히 글로벌 이슈를 낳고 있습니다. 우리네 실생활에선 훌쩍 뛰어버린 기름 값이 문제로 떠올랐죠. 문화계에도 이러한 문제들이 하나 둘 불거지고 있습니다. 특히 음악계에선 ‘러시아 보이콧’이란 말이 나올 정도라는데요. 어떤 화두가 논란이 되고 있는지 황장원 음악칼럼니스트가 조목조목 짚어드립니다. |
|
|
아마도 21세기에 벌어진 가장 충격적인 참화 가운데 하나로 역사에 기록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클래식 음악계에도 커다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러시아는 위대한 작곡가와 연주가를 다수 배출한 유수의 ‘클래식 음악 강국’이고, 최근까지도 수많은 러시아 출신 음악가들이 세계 각지의 공연장을 누비며 각광받아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의 조국이 돌이킬 수 없는 참사를 일으킨 지금, 러시아 음악가들의 국제적 위상과 활동은 중대 기로에 놓여 있다. 전 세계 각계각층에서 들불처럼 번지고 있는 ‘러시아 보이콧’ 열풍이 음악계라고 해서 예외일 수 없기 때문이다.
퇴출된 차르, 잠적한 프리마돈나
러시아 보이콧과 관련하여 클래식 음악계에서 가장 먼저 화제에 오른 인물은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였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마린스키 극장의 총감독 겸 음악감독인 발레리 게르기예프는 평소 푸틴 대통령과 각별한 사이로 유명하다. 2013년 푸틴의 세 번째 대선 출마 당시 TV에 출연하여 지지 연설을 했고, 2014년 크림반도 합병 때는 문화예술계 인사 19명과 함께 지지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가 ‘러시아 음악계의 차르’로 군림하면서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새로운 오페라 극장과 콘서트홀을 세울 수 있었던 것도 푸틴의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많다. 그런 푸틴과의 인연 때문인지 게르기예프는 이번 사태 발발 이후 ‘반전 메시지’를 내달라는 각계의 요구에 침묵으로 일관했고 그 결과는 참혹했다.
당초 게르기예프는 2월 말부터 3월 초까지 진행될 오스트리아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미국 투어를 지휘하기로 되어 있었다. 하지만 뉴욕 카네기홀에서의 첫 공연 직전에 전쟁이 터졌고, 빗발치는 비판 여론에 카네기홀과 빈 필은 공연 전날 게르기예프와 협연자 데니스 마추예프(피아니스트)의 하차를 발표했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음악감독인 캐나다 지휘자 야닉 네제-세갱과 베를린에서 콜을 받고 7시간 만에 비행기를 탄 우리나라의 조성진이 그들을 대신했다.
게르기예프의 비운은 계속됐다. 이탈리아 밀라노 시장이자 라 스칼라 극장 이사회 멤버인 주세페 살라가 그에게 우크라이나 사태의 평화적 해결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지 않으면 3월에 예정된 차이콥스키 오페라 ‘스페이드 여왕’ 공연을 지휘할 수 없다고 통보했던 것이다. 독일 뮌헨과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도 비슷한 요구가 날아들었다. 게르기예프는 2015년부터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지휘자로 활동했고, 로테르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는 1995년부터 2008년까지 수석지휘자로 재임한 다음 명예지휘자로 추대되어 인연을 이어오는 한편 자신의 이름을 내건 페스티벌도 주관하고 있었다. 결국 그는 3월에 밀라노에 갈 수 없었고 뮌헨과 로테르담에서는 해촉 통보를 받았다. 또 스위스 베르비에 페스티벌의 음악감독직에서도 물러났고, 5월로 예정했던 마린스키 극장 오케스트라의 뉴욕 공연도 당연히 취소되었다. 게르기예프는 이제 더 이상 ‘세상에서 가장 바쁜 지휘자’가 아니다. |
|
|
비판의 화살은 게르기예프가 육성한 스타 소프라노이자 역시 푸틴 지지를 공공연히 천명해온 세계 최정상의 프리마돈나 안나 네트렙코에게도 쏟아졌다. 2월 25일로 예정했던 덴마크 공연이 취소된 직후 네트렙코는 전쟁 반대와 유감 의사를 피력했지만, 푸틴에 대한 지지 철회는 거부했기에 비판 여론은 잦아들지 않았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극장장인 피터 겔브는 ‘메트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가수 중 한 명’인 그녀를 잃는 것은 ‘크나큰 예술적 손실’이라면서도 퇴출을 선언했고, 그 직전에 그녀는 향후 모든 일정에서 자진 하차한다고 발표했다. 그런가하면 1990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우승자인 피아니스트 보리스 베레조프스키는 러시아 TV 방송에 출연하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책임이 서방세계에 있다며 러시아군이 키이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가 글로벌 매니지먼트 계약이 끊겼다.
그들의, 그리고 우리의 딜레마
아마도 이런 식의 ‘러시아 보이콧’ 현상은 당분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우려스러운 것은 이번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러시아의 모든 음악가의 활동을 배척하거나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는 점이다. ‘전쟁 반대’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캐나다에서의 리사이틀이 취소된 피아니스트 알렉산드르 말로페예프의 사례는 많은 이들의 안타까움을 샀다. 2014년 영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한 후 러시아 피아노계의 차세대 유망주로 떠오른 그는 이제 겨우 스무 살이다. 또 5월 개막을 앞두고 러시아인의 참가를 불허하기로 결정한 아일랜드 더블린 국제 피아노 콩쿠르의 처사에 대해서도 지나치다는 반응이 많다. 오세티아 출신 지휘자 투간 소히예프의 사례는 지금 러시아 출신 음악가, 나아가 우리들이 처한 딜레마를 상징하는 듯하다. 소히예프는 3월 초 모스크바 볼쇼이 극장과 프랑스 툴루즈 시립관현악단의 수장직을 동시에 내려놓으면서 “친애하는 러시아와 프랑스 음악가 사이에서 어려운 선택을 강요받았다”고 털어놨다. 아울러 그는 많은 음악가들이 ‘캔슬 컬처(Cancel Culture)’의 희생양이 되고 있다면서, “조만간 차이콥스키, 스트라빈스키, 쇼스타코비치, 베토벤, 브람스, 드뷔시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요청을 받게 될 것”이라고 고충을 토로했다.
실제로 공연계 일각에서는 러시아 작곡가의 음악을 배제하려는 듯한 움직임도 없지 않다. 독일 베를린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최근 공연에서 차이콥스키의 ‘슬라브 행진곡’을 ‘교향곡 제1번’으로 교체했고, 영국 카디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차이콥스키의 ‘1812년 서곡’을 공연 프로그램에서 제외했다. 다만 두 곡 공히 러시아가 연관된 역사적 사건(전쟁)을 다룬 작품으로 현 상황에 맞지 않는다는 판단 때문이었을 것으로 보이며, 두 악단을 포함한 대다수 오케스트라들은 올 시즌 프로그램에 포함된 러시아 음악을 예정대로 연주하기로 했다.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차이콥스키나 라흐마니노프를 들을 수 없는 공연장은 아무래도 상상하기 어렵다. |
|
|
그런데 게르기예프나 네트렙코에 대한 우리의 반응 내지 대응은 정당한 것일까? 글쎄, 돌이켜 보면 이번에 그들이 (우리 쪽의) 공분을 사게 된 이유는 그 태도가 그들의 예술 이면에 자리한 진의를 의심하게 만든 탓이다. 음악이 청중에게 전달될 때 연주가는 대개 작품이나 작곡가, 또는 청중의 내력이나 경험 뒤로 물러나거나 숨는다. 연주가는 자신을 내세우기보다는 작품과 작곡가, 청중을 위해서 봉사하는 편이 바람직하다는 믿음 때문이다. 하지만 연주가도 사람인 이상 음악에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투영하게 마련이고, 그것은 청중에게 탐지되거나 들켰을 때 비로소 호응이나 평가를 받게 된다. 그런데 만일 그것이 평화가 아니라 폭력을, 자유가 아니라 억압을 환기하거나 옹호하고 있다면 어떻겠는가? 그들이 연주한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이나 프로코피예프의 오페라는 대체 무슨 의미였는지, 과연 무엇을 위한 것이었는지 의심할 만하지 않겠는가? “음악은 음악일 뿐 정치와는 무관하다”는 주장은 때로 허울이거나 방편에 불과하다. |
|
|
루이비통도 카페를 연다고? 5월엔 청담동에서 미식을…🤩 |
|
|
지난주 <THE FLEX>에서 3월 28일 ‘구찌 오스테리아 서울’이 문을 연다고 소개했는데요. 이번엔 루이비통이 오는 5월 청담동 ‘루이비통 메종 서울’ 4층에 ‘루이비통 카페(Louis Vuitton Café)’를 오픈해 한시적으로 운영한다고 알려왔습니다. 현재 프랑스 파리에서 자신의 이름을 건 레스토랑 5곳을 운영 중인 피에르 상 보이에 셰프가 메뉴를 총괄한다는데요. 이미 아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국내에서 피에르 상이라 불리는 그는 한국계 프랑스인이죠. 7살 때 프랑스 가정으로 입양됐다고 합니다. 한국인의 피가 흐르고 있지만 현재의 그는 명실상부한 프렌치 셰프로 성장했는데요. 과연 그가 한국에서 선보이는 런치와 디너 코스에 한식이 접목될지도 관심사 중 하납니다. |
|
|
구찌 오스테리아, 예약 오픈하자마자 마감
구찌 오스테리아에선 시그니처 메뉴와 예약 마감 상황이 화제가 됐습니다. 우선 ‘서울가든’(2만6000원) ‘에밀리아 버거’(2만8000원) ‘토르텔리니’(3만9000원) 등의 메뉴가 2~3만원대, 테이스팅 메뉴 중 5코스는 12만원, 7코스는 17만원으로 책정됐습니다. 지난 3월 16일에 3월 28일부터 4월 15일까지 좌석 예약을 받았는데요. 단 4분 만에 전석이 마감됐다는군요. 3월 28일에 실시한 이후 5월 15일까지 좌석 예약은 단 3분 만에 마감됐습니다. 맛보려면 손이 빠르던지 인내심이 깊어지던지 여하튼 기다려야 합니다. |
|
|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안드레아스 거스키 신작 세계 최초 공개
|
|
|
<얼음 위를 걷는 사람 Eislaufer>(2021년) ⓒ안드레아스 거스키, 스푸르스 마거스 제공 |
|
|
현재 가장 관심이 뜨거운 지역은 서울 용산이죠. 그런데 이 용산에 국방부 건물 말고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이 있다는 거 알고 계십니까. 이곳에서 바로 오늘부터 8월 14일까지 현대 사진의 거장 안드레아스 거스키의 신작이 공개된다는 군요. 무려 전 세계 최초란 타이틀을 달고 있습니다.
안드레아스 거스키는 1955년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태어난 사진작가인데요. 40여년의 작품 활동을 통해 시대의 감성과 정신을 날카롭게 포착해 현대 사진의 역사를 쓰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 동안 퐁피두 센터(2002년), 시카고 현대미술관(2002년),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2003년), 하우스 데어 쿤스트(2007년), 빅토리아 국립미술관(2008년), 루이지애나 현대미술관(2012년), 헤이워드 갤러리(2018년) 등 세계 유수의 기관에서 개인전을 가졌죠. 이번 전시회에선 그의 대표작 40점을 볼 수 있는데요. 그 중 <얼음 위를 걷는 사람(Eisläufer)>(2021년)과 <스트레이프(Strief)>(2022년)가 처음 공개되는 신작입니다. 올봄엔 미술관 어떠세요. 봄을 맞는 새로운 습관을 만들어보시죠. 입장료는 성인 1만7000원이라는군요. |
|
|
예거 르쿨트르, 랑데부 데즐링 나잇&데이
다이아몬드 장식이 인상적인 ‘랑데부 데즐링 나잇&데이’은 주얼리 워치에요. 진귀한 보석을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작업해 베젤과 다이얼 내부, 크라운을 장식했습니다. 특히 화이트 골드 색상의 핸즈와 숫자로 장식된 마더오브펄 다이얼 등이 시선을 사로잡는데요. 36㎜ 케이스에 오토매틱 무브먼트를 탑재했습니다. |
IWC, 빅 파일럿 워치 퍼페추얼 캘린더
레이싱 그린 에디션
빅 파일럿 라인의 새로운 타임피스에요. 블랙 세라믹 케이스, 세라타늄® 크라운과 케이스 링, 화려한 레이싱 그린 색상의 다이얼이 썩 잘 어울립니다. 250피스만 한정 생산되는데요. 시계 케이스에 사용된 블랙 산화 지르코늄 세라믹은 IWC가 1980년대에 처음 도입한 최첨단 소재라고 합니다. |
|
|
💨 Oh! My Sale
브랜드를 클릭해보세요. 이벤트 세상으로 이동합니다~!
백화점 일제히 봄맞이 정기세일~!
내일(4월 1일~17일)부터 전국의 주요 백화점이 일제히 봄 정기세일을 시작합니다.
우선 롯데백화점은 야외 활동에 초점을 맞춰 골프, 캠핑, 등산 활동과 관련된 행사에 집중한다는군요. 모든 상품권 사은 행사가 롯데백화점 앱으로 진행됩니다.
현대백화점에선 해외패션·잡화·리빙 등 300여개 브랜드가 참여해 봄 신상품을 최초 판매가 대비 10~30% 할인합니다. 판교점에선 4월 1일부터 3일까지 패션 브랜드가 참여하는 봄 패션 종합 제안전을 진행해, 이월 상품을 최초 판매가 대비 최대 80% 할인 판매한다는군요. 4월 1일부터 10일까지 세일 참여 패션 단일 브랜드에서 현대백화점카드로 60만원 이상 구매 고객에게 금액대별 최대 10% 현대백화점 상품권도 증정합니다.
신세계백화점도 300여개의 브랜드가 참여해 다양한 봄 상품을 소개하고 최대 60% 할인 판매를 진행합니다. 비대면 쇼핑에 익숙한 MZ세대를 겨냥해 강남점에선 4월 1일 라이브 방송도 실시한다는군요.
갤러리아백화점은 라이프스타일 분야에 초점을 맞춰 주요 가전 브랜드 9개가 최대 10%의 보상을 증정하고 평소보다 마일리지를 2배 적립해줍니다.
|
|
|
매일경제 뉴스레터 <THE FLEX>
ssalo@mk.co.kr 04627 서울시 중구 퇴계로 190(필동 1가)
|
|
|
|
|